도시가스 절약으로 캐시백 혜택 얻는 방법

추운 겨울, 난방비 걱정에 고민이 많으시죠? 그렇다면 이번 기회에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이 제도는 대한민국 정부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가스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도입한 정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가스 절약으로 캐시백 혜택 얻는 방법’ 으로 어떠한 것이 있는지, 그리고 신청기간이 언제이며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등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가스 절약으로 캐시백 혜택 얻는 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정부가 시행하는 캐시백 제도 중 하나 인데요. 가정에서 사용하는 도시가스를 절약하면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이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환경 보호를 촉진하려는 목적에서 시행되고 있는데요. 12월부터 3월까지의 도시가스 사용량으로 환급액을 산출하는데, 이 시기 작년 사용량과 금년 사용량을 비교하여 3% 이상 적게 쓰면 캐시백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가스 사용량을 줄이면 줄일수록 더 큰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이익과 환경 보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일석이조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나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자격

개별난방 또는 중앙난방을 쓰는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어느 누구나 참여가 가능 합니다.(단, 취사용은 제외)

 

 

신청기간

 2024년 12월 1일 ~ 2025년 3월 31일 

신청기간은 충분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빠르게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캐시백 신청방법

아래 k-가스 캐시백 사이트를 통해 회원가입

회원가입을 하면 자동적으로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절감기간

2024. 12월 ~ 2025. 03월 (2025. 1월 ~ 2025. 4월 고지서 발행분)

실제 절감을 해야할 시기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비교기간

2023. 12월 ~ 2024. 03월 (2024.1월 ~ 2024. 4월 고지서 발행분)

실제 절감을 해야할 현재 시점과 비교할 작년 데이터라고 보시면 됩니다.

 

 

캐시백 지급기준

전년 동기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절감율 구간별 차등 지급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절감율 구간

절감율 3% 이상 10% 미만 : 50원/㎥
절감율 10% 이상 20% 미만 : 100원/㎥
절감율 20% 이상 30% 미만 : 200원/㎥

 

 

캐시백 산정 예시

12월 ~ 3월 사용량을 1월 ~ 4월 동안 고지서로 받을 것이고, 이 때 나온 절감량(부피 단위)으로 작년 동기간 고지서와 비교하여 계산합니다.

아래 예시(표)를 통해 쉽게 알아보시죠.

비교기간 2023년 12월 2024년 01월 2024년 02월 2024년 03월 합계
사용량(㎥) 100 100 100 100 400
절감기간 2024년 12월 2025년 01월 2025년 02월 2025년 03월 합계
사용량(㎥) 80 80 80 80 320

비교기간 총 사용량 = 400㎥
절감기간 총 사용량 = 320㎥

즉, 총 절감량 = 80㎥
절감률 = 80/400 = 20%
 캐시백(환급금) = 80㎥ x 200원/㎥ = 16,000원 

(위에서 언급했듯이 캐시백 지급기준에 따라 절감률 구간 20% 이상 30% 미만에 속하므로 1㎥ 당 200원 캐시백 혜택)

 

캐시백 지급방식

전년도 대비 3% 이상 절감 시 신청자의 계좌로 현금 지급
(본인이 회원가입 시 기입했던 계좌)

 

 

캐시백 지급시기

지급 예정일은 2025년 7월 ~ 8월 정도이고, 추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할 예정이라고 하지만 일정이 변동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상단 캐시백 신청방법에 있는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단에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이란?’ > ‘캐시백 지급안내’ 메뉴를 참고)

 

 

마치며

이렇게  ‘도시가스 절약으로 캐시백 혜택 얻는 방법’ 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요.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단순히 혜택을 넘어, 우리의 환경과 지갑을 동시에 지키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올 겨울부터는 본인의 도시가스 사용 습관을 점검해보는 계획을 세우고 작은 변화가 만드는 큰 혜택으로 따뜻한 겨울을 맞이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